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를 알아보자

   ARP는 IP 주소와 MAC 주소 간의 대응을 해주는 프로토콜로, 로컬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전송자가 특정 IP주소로 데이터를 보낼 때, 그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상대 컴퓨터의 MAC 주소를 모르면  AR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MAC주소를 검색하고 맵핑한다. A 컴퓨터가 141.23.56.23의 IP주소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MAC 주소를 알고 싶은 경우, LAN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에 속한 다른 컴퓨터들에게 ARP 프로토콜을 보낸다. 그 결과 B,C,D,E 컴퓨터가 해당 프로토콜을 받았다고 가정하고 그 중 B가 해당 IP주소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B가 ARP reply를 A에게만 보낸다. 나머지 해당하지 않는 컴퓨터들은 이 요청을 버린다. B 컴퓨터가 A 컴퓨터에게 보낸 응답에는 B 컴퓨터의 MAC 주소가 들어있다. (ex A4:6E:F4:58:93:22)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IP 주소와 MAC 주소의 차이를 알고 있으면 좋다. IP주소는 Logical Address라고도 불리며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경우 할당된다. 컴퓨터나 핸드폰 같은 장치의 고유한 번호가 아니라 네트워크의 address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대학 강의실에 여러 와이파이가 있는 경우에, 컴퓨터를 어느 와이파이에 연결하는 지에 따라서 IP주소가 달라진다. 

 

   이에 반해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는 이더넷 주소 혹은 하드웨어 주소라고도 불린다. 이는 컴퓨터 안에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 카드에 할당된 주소이다. IP주소와 다르게 어느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랑 상관없이 항상 같은 값을 갖는다. 컴퓨터 명령 프롬프트에서 " ipconfig /all " 명령어로 자신의 MAC 주소를 알아볼 수 있다.